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 최대 유통업체 월마트를 공개적으로 비판하며 관세로 인한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지난 1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 소셜을 통해 “월마트는 관세를 핑계로 가격을 올리지 말라”며 “중국과 월마트가 관세 부담을 감당하고 소비자에게는 추가 비용을 요구하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월마트는 지난해 수십억 달러의 이익을 냈고 고객들이 지켜보고 있다”고 압박했다.
이번 발언은 최근 월마트 측이 “미·중 무역 관세로 인해 바나나, 유아용 카시트 등 다양한 품목의 가격이 오를 수 있다”고 경고한 데 따른 반응이다.
존 레이니 월마트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중국에서 수입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경우 현재 350달러(약 49만원)에서 100달러(약 14만원) 정도 인상될 수 있다”며 “가격 인상을 최대한 자제하고 있지만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4월 더그 맥밀런 월마트 최고경영자(CEO)는 백악관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관세 문제를 논의한 바 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기업들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관세 부과를 강행했으며, 아마존과 애플 등은 공급망 차질로 인해 타격을 받고있는 상황이다.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관세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 확대를 이유로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관세는 경기 둔화와 물가 상승을 동시에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업계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압박이 물가 상승에 따른 소비자 불만을 기업에 전가함으로써 정치적 부담을 덜려는 의도로 풀이된다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